마케팅 사례 분석16 글로벌 역직구 시장 진출 전략과 성공 사례: K브랜드의 새로운 기회 글로벌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을 직접 구매하는 역직구(Reverse Cross-border E-commerce). 코로나 이후 전 세계 온라인 소비 구조가 급변하며 K뷰티, K패션, K푸드 중심의 브랜드들이 국경을 넘어 판매 채널을 확장하고 있다. 역직구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브랜드화의 시작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역직구 시장 진출 주요 경로 글로벌 마켓플레이스 진출■ Amazon⊙ 세계 180개국에 판매가 가능하며 FBA(Fulfillment by Amazon)로 물류 부담 최소화.⊙ 상품명, 키워드, 리뷰 최적화가 핵심. 미국 현지의 소비 스타일에 맞춘 상세페이지가 중요하다. ■ Shopee / Lazada⊙ 동남아시아·대만 중심의 플랫폼. SNS 광고 및 라이브커머스(LazLive) .. 2025. 10. 30. 조말론 마케팅 전략: 럭셔리 향수 시장을 재정의한 브랜드의 비밀 단순한 향이 아닌 경험을 판다조말론(Jo Malone London)은 향수를 파는 브랜드입니다. 하지만, 향만 파는 건 아닙니다. 고객에게 향으로 '기억을 디자인하는 경험'을 함께 판매하는 것입니다. 조말론은 글로벌 럭셔리 향수 브랜드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니멀한 감각과 누구나 자신만의 향을 만들 수 있는 레이어링 경험 그리고 고급스럽지만 따뜻한 서비스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말론의 역사부터 글로벌 확장, 체험 마케팅 그리고 지속 가능성 전략까지 마케팅의 모든 비밀을 정리합니다. 브랜드 역사와 정체성 창립 배경과 초기 성장⊙ 1994년 영국 런던에서 조앤 레슬리 말론이 설립⊙ Nutmeg & Ginger Bath Oil이 뷰티 저널리스트에게 주목받으며 인지도 확보⊙ 1994년 'L.. 2025. 10. 28. TWG 마케팅 전략: 티(Tea)를 럭셔리 경험으로 만든 비결 차를 넘어선 경험의 마케팅차(Tea)는 일상적인 음료입니다. 하지만 싱가포르에서 시작한 TWG는 차를 '럭셔리 라이프스타일'로 재정의하며 전 세계 프리미엄 티 시장을 열었습니다. TWG의 성공은 단순히 좋은 차를 판매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스토리·희소성·공간 경험을 조합해 고객에게 특별한 순간을 팔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WG가 어떻게 차를 '럭셔리 경험'으로 만들었는지 그리고 그 전략에서 다른 브랜드가 배울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정리합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럭셔리 포지셔닝 설립 배경과 역사적 의미TWG는 2008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되었지만 로고에 '1837'이라는 연도를 사용합니다. 이는 싱가포르가 티 무역 허브로 기록된 해를 뜻합니다. 신생 브랜드임에도 전통과 역사를 계승한다는 메시지를 줍.. 2025. 10. 27. 아사히 맥주 마케팅 전략: 일본 위기 탈출에서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 지는 해에서 '슈퍼 드라이'로1980년대 중반 아사히 맥주는 '유히비루(夕日ビール, 석양맥주)'라는 조롱을 들었습니다. 몰락 위기까지 처했죠. 하지만 1987년 히구치 히로타로 사장의 역발상 경영과 '슈퍼 드라이' 출시로 기적 같은 반전을 일궈냈습니다. 이후 아사히는 일본 시장을 넘어 미국·한국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며 글로벌 프리미엄 맥주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사히 맥주가 일본 내 위기 극복 어떻게 극복했는지, 해외 진출과 현지화 전략 그리고 장기적 경쟁력 강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일본 시장에서의 위기와 반전시장 점유율 위기와 리더십 교체⊙ 1980년대 중반 시장 점유율 10% 이하로 추락. '지는 해 맥주'라는 오명 획득⊙ 구조조정·자산 매각 시도 실패 후 히구치 히.. 2025. 10. 26. HOKA 마케팅 성공 요인: 니치 브랜드에서 글로벌 스니커즈 아이콘으로 HOKA가 달리기 문화를 바꾼 이유2010년 프랑스에서 탄생한 HOKA는 초기 '투박하고 과장된 러닝화'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당시 러닝 시장은 나이키 프리, 비브람 파이브핑거스처럼 미니멀리즘이 주류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HOKA는 맥시멀 쿠셔닝 러닝화라는 정반대 전략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했습니다. 지금은 울트라 러너부터 MZ세대까지 사로잡으며 글로벌 스포츠·패션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HOKA가 어떻게 '기능성 러닝화 브랜드'에서 '글로벌 문화 아이콘'으로 도약했는지 마케팅 성공 요인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품 철학과 차별화 전략 맥시멀리즘 디자인⊙ 두툼한 미드솔: 일반 러닝화보다 1.5~2배 두꺼운 미드솔로 충격 흡수 극대화⊙ Meta-Rocker 기술: 곡선형 밑창으로.. 2025. 10. 22. 한국 뉴발란스 마케팅 성공 사례: 아저씨 신발에서 MZ세대 아이콘으로 이미지 전환이 만든 기적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뉴발란스는 편한 운동화 그리고 아저씨 신발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한마디로 올드하다는 것. 하지만 지금은 전혀 다른 모습. 530, 327, 2002R 같은 모델은 20·30대가 열광하는 운동화 중 하나. 한정판 드롭은 리셀 시장까지 형성하며 나이키, 아디다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배경에는 리포지셔닝, 한정판 전략, 팬덤 기반 커뮤니티, 감성 스토리텔링이라는 치밀한 마케팅 로드맵이 있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뉴발란스의 마케팅 성공 사례를 단계별로 분석하고 다른 브랜드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정리하려 한다. 브랜드 리포지셔닝 전략 현지화 주도권 확보⊙ 뉴발란스 한국팀은 글로벌 본사의 일률적 전략을 따르지 않고 한국 시장 트렌드.. 2025. 10. 2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