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은 빠르게 변하고 소비자는 더 빨리 식상해한다. 제품보다 이야기와 감성이 중심이 된 지금 브랜드는 새 얼굴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이 글에서는 한샘, 리복, 설화수, 곰표 네 브랜드의 리브랜딩 성공 사례를 통해 브랜드 생명력을 되살린 전략과 인사이트를 분석한다. 기억하자 리브랜딩은 단순한 로고 교체가 아니라 브랜드 세계관의 재정의다. 모든 성공 사례를 보면 정체성 유지와 세대 공감 사이에서 균형을 찾았다.

리브랜딩이 필요한 이유
소비자는 더 이상 제품을 사지 않는다. 자신이 공감하는 가치를 산다. 브랜드가 그 가치의 언어를 시대에 맞게 번역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잊히게 된다.
리브랜딩 필요성
⊙ 트렌드 변화 속도에 맞춘 감성·언어·경험의 리셋 필요
⊙ 세대교체에 따른 고객 인식 갱신
⊙ 기존 이미지 노후화로 인한 브랜드 피로도 해소
한샘 HANSSEM: 가구 브랜드에서 라이프스타일 동반자로
변화의 배경
국내 가구 시장은 온라인 전환과 MZ세대 중심 소비로 급변했다. 이케아, 오늘의 집 등 신흥 브랜드가 젊은 세대의 취향을 장악하면서 한샘은 중장년층 오프라인 브랜드라는 이미지로 고착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샘은 홈 라이프 디자인 중심으로 브랜드를 재정의했다.
핵심 전략
■ BI와 슬로건 리뉴얼
⊙ 강렬한 레드 대신 부드러운 감성 컬러 팔레트 적용
⊙ 슬로건 홈 라이프를 디자인하다로 감성 메시지 강화
■ 라이프스타일 중심 콘텐츠 마케팅
⊙ 제품 광고에서 생활 제안형 콘텐츠로 전환
⊙ 한샘과 함께하는 하루의 루틴 등 감정 기반 스토리텔링
■ 디지털 UX 혁신
⊙ 자사몰 및 앱 개편으로 AR 시뮬레이션, 맞춤 견적 기능 강화
⊙ 인플루언서 협업으로 공간 경험 중심 콘텐츠 확산
성과
한샘은 리브랜딩 이후 2030 세대 브랜드 호감도가 크게 상승했다. 올드한 이미지 탈피 응답이 60% 이상 증가하며 공간을 디자인하는 브랜드로 인식이 바뀌었다.
리복 Reebok: 스포츠에서 스트리트 컬처로의 진화
변화의 배경
2006년 아디다스에 인수된 이후 리복은 독자 정체성을 잃었다. 하지만 2021년 독립을 계기로 리복은 다시금 자신을 정의했다. 스포츠 브랜드가 아니라 문화적 코드로서의 리복으로.
핵심 전략
■ 90s 헤리티지 복고 감성 리브랜딩
⊙ Classic Leather, Club C 등 과거 명작 라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 캠페인 메시지: Back to the street, back to heritage
■ 패션·컬처 브랜드로 확장
⊙ 스트리트 브랜드, 힙합 아티스트와 협업
⊙ 운동화 브랜드에서 문화 브랜드로 포지션 이동
■ 한정판·셀럽 콜라보
⊙ 카디 비, 빅 션 등 글로벌 셀럽과 협업
⊙ 한정판 시리즈로 SNS 화제성 극대화
성과
리복은 리브랜딩 이후 SNS 언급량 2.5배 증가와 MZ세대 중심의 패션 시장 점유율 상승을 기록했다. 올드한 운동화에서 힙한 스트리트 아이콘으로 변신 성공했다.
설화수 Sulwhasoo: 한국적 감성을 글로벌 럭셔리로
변화의 배경
설화수는 오랫동안 한방 명품 화장품의 대명사였으나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통 중심 이미지가 다소 무겁게 인식되었다.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를 한국적 감성의 글로벌 럭셔리로 재정립했다.
핵심 전략
■ 로고·패키지·스토어 디자인 리뉴얼
⊙ 한글 서체 대신 세련된 산세리프체로 현대적 이미지 강화
⊙ 금빛·아이보리 톤 패키지로 절제된 고급미 표현
■ 글로벌 캠페인
⊙ 브랜드 내러티브: Asian Wisdom, Modern Luxury
⊙ 글로벌 앰버서더 로지·틸다 스윈튼 기용
⊙ 캠페인 Beauty From Culture로 브랜드 철학 시각화
■ 세계관 통합
플래그십 스토어, 광고, 제품 경험을 하나의 미학 언어로 통합
성과
리브랜딩 이후 설화수는 해외 매출 비중이 50%를 넘겼다. 글로벌 럭셔리 시장 내 검색량과 브랜드 인지도가 동반 상승하며 한국적이지만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곰표 GOMPYO: 유머로 다시 태어난 레거시 브랜드
변화의 배경
한때 주부들의 밀가루로만 인식되던 곰표는 MZ세대에게 레트로 감성으로 다가가기 위해 브랜드를 새로 디자인했다. 목표는 오래된 브랜드가 스스로를 웃길 줄 알게 만드는 것.
핵심 전략
■ 캐릭터 중심 브랜딩
⊙ 곰 캐릭터를 브랜드의 주인공으로 전면화
⊙ 민트 블루 컬러와 복고 폰트로 시각적 일관성 확보
■ 협업 마케팅
⊙ CU와 곰표 밀맥주, 오리온·휠라·MLB 등 이종 콜라보
⊙ 각 협업마다 브랜드의 고유 감성(유머, 위트) 유지
■ SNS 유머 마케팅
⊙ 촌스러움을 유머 코드로 전환
⊙ 브랜드 자조형 밈 콘텐츠로 MZ세대 공감 확보
성과
곰표 맥주는 출시 직후 완판 및 SNS 밈으로 폭발적 확산을 기록했다. 이후 협업 제품들도 연속 완판되며 곰표는 생활문화 아이콘으로 진화했다.
네 브랜드의 공통 성공 요인
정체성의 재정의
단순히 외형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의 존재 이유를 다시 설계했다. 한샘은 공간의 가치, 리복은 문화적 자부심, 설화수는 문화적 아름다움, 곰표는 유머와 향수로 핵심을 재해석했다.
세대 공감 중심 전략
디자인이 아닌 관점의 전환으로 젊은 세대를 공략했다. 곰표의 밈, 리복의 스트리트, 설화수의 감성, 한샘의 콘텐츠는 모두 세대 언어로 소통했다.
디지털 중심의 경험 설계
모든 브랜드가 디지털을 중심축으로 삼았다. 한샘은 온라인 UX, 리복은 SNS 문화, 설화수는 글로벌 캠페인, 곰표는 밈 확산으로 접점을 강화했다.
진정성 + 커뮤니티
리브랜딩은 브랜드가 소비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이야기로 진화했다. 팬, 팔로워, 협업자 모두 브랜드 세계관의 일부로 참여하게 만든 것이다.
과거를 잇고, 미래를 여는 브랜드 언어
성공적인 리브랜딩은 과거의 정체성 유지”와 새 시대의 언어 적응 사이의 균형에서 완성된다. 한샘은 공간, 리복은 문화, 설화수는 감성, 곰표는 유머를 통해 자신만의 목소리를 되찾았다. 이 네 가지 사례는 리브랜딩을 고민하는 모든 브랜드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긴다.
새로운 로고가 아니라,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라.
'마케팅 사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객 맞춤 개인화 가격 전략 사례 분석: AI가 바꾸는 가격 경쟁의 법칙 (0) | 2025.11.04 |
|---|---|
| 쿠팡, 무신사,컬리 이커머스 성공의 3가지 코드: 속도, 트렌드, 신뢰의 전략 (0) | 2025.11.03 |
| 글로벌 역직구 시장 진출 전략과 성공 사례: K브랜드의 새로운 기회 (1) | 2025.10.30 |
| 조말론 마케팅 전략: 럭셔리 향수 시장을 재정의한 브랜드의 비밀 (0) | 2025.10.28 |
| TWG 마케팅 전략: 티(Tea)를 럭셔리 경험으로 만든 비결 (0) | 2025.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