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엔진 최적화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

by ChicStrategist 2025. 1. 24.

구글 애널리틱스 GA4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GA4는 무료로 제공되지만 매우 강력한 분석도구입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매우 낯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가 알아야 할 구글 애널리틱스 GA4의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
구글 애널리틱스 주요 용어 및 인터페이스

 

 

 

목차

 


 

주요 용어

1. 사용자 (User)

웹사이트 또는 앱과 상호작용(사용)하는 개인을 말합니다. GA4에서는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기기에서 접속하더라도 하나의 사용자로 간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즉, 한 사용자가 같은 웹사이트를 PC와 스마트폰으로 접속할 대 동일 사용자로 인식합니다. 

 

 

2. 클릭 (Click)

클릭은 사용자(user)가 웹페이지에서 특정 요소(링크, 버튼 등)를 선택하거나 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릭수는 자동 수집됩니다. 또한, 버튼 클릭, 외부 링크 클릭, 이미지 클릭 등 다양한 클릭 유형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어떤 버튼 또는 링크가 가장 많이 클릭되었는지도 파악 가능합니다. 이러한 클릭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 버튼을 자주 클릭 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음)

 

 

3. 세션 (Session)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면서 새로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세션입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방문하여 일정 시간 동안 활동하고 떠날 때까지의 시간을 하나의 세션으로 칭합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세션은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을 방문한 횟수라 할 수 있습니다. 

 

클릭이 웹사이트에서 특정 요소를 (주로 마우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면 세션은 웹사이트 내에서의 사용자의 전체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해 20분 동안 6개 페이지를 방문했습니다. 이때 광고 3개를 클릭했다면 클릭 수는 2회 세션수는 1회입니다. 

 

클릭 이벤트 분석은 특정 콘텐츠의 효과 측정과 사용자의 관심사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합니다. 반면 세션은 웹사이트의 전체적인 성과를 평가하거나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데이터 분석에 사용됩니다. 

 

세션이 새로 시작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새로운 브라우저를 열고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 이전에 열렸던 블라우저와 별개 세션으로  기록
  • 30분간 아무런 활동이 없을 때에 기존 세션은 종료되고 새로운 새션이 시작됩니다. 
  • 자정이 지나면 새로운 세션이 시작됩니다.

 

 

4. 이벤트 (Event)

이벤트는 모든 사용자 활동을 기록하는 단위입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내에서 한 다양한 행동을 나타냅니다. 페이지 조회, 버튼 클릭, 스크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5. 추천자 (Referer)

Referer은 사용자가 방문하기 직전의 웹페이지 주소를 나타냅니다. 사용자가 어떤 링크를 클릭해서 현재 웹사이트로 유입되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Referer
Referer

 

네이버 맵에서 경복궁을 클릭해 경복궁 홈페이지로 이동했습니다. 도착 사이트인 경복궁 홈페이지에는 이전 사이트 정보(네이버 맵)를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이전 페이지인 네이버 맵을 추천자(referer)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사용자가 유입된 경우를 referral(추천 유입)이라고 합니다. 

  • 네이버 맵 : 유입을 추천해 추천자 (referer)
  • 경복궁 홈페이지: 도착 사이트

GA4에서는 모든 세션에 대해 추천자 정보가 기록됩니다. 이는 이후에 소개할 소스(Source)및 매체(Medium)와 연관됩니다. 추천자 분석으로 어떤 외부 웹사이트에서 유입이 많은지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사 사이트로 유입이 설정된 외부 사이트들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6. 소스(Source)와 매체(Medium)

소스(Source)는 어디서(Where)를 매체(Medium)는 어떻게(How)라고 보면 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소스와 매체
소스(Source)와 매체(Medium)

 

 

소스(Source)는 유입 출처로 사용자가 현재 웹사이트에 유입되기 직전 머물렀던 사이트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Google, Naver, Daum 등의 검색 엔진을 통해 들어왔는지 SNS를 통해 들어왔는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매체(Medium)는 트래픽 유입의 방법 또는 경로를 설명합니다. 'none(직접 유입), 'organic'(자연 검색), 'cpc'(유료 검색 광고), 'referer(추천자, 링크를 통한 유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매체의 기본 구분

  • none: 이전 사이트 정보나 검색어가 없는 유입 (북마크타 직접 url입력으로 유입)
  • referer: 이전 사이트 정보가 있으나, 검색이 아닌 링크 클릭으로 유입(검색어 없음)
  • organic: 포털에서 검색(이전 사이트 정보 있음) 후 들어온 유입 (검색어 있음)
  • cpc: Googlde Ads 등의 유료 광고 클릭

※ 단, 구글 광고 이외(예를 들어 네이버 파워링크) 경우 검색어 광고로 유입되지만 cpc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전 사이트 정보(naver)가 있고 검색어(광고 키워드)가 있기 때문에 organic으로 분류됩니다. cpc는 구글 광고(Google.com, Google.co.kr)에만 표시됩니다. 

 

 

7. UTM (Urchin Tracking Module)

앞서 구글 광고 이외의 광고에는 cpc로 분류되지 않고 organic으로 분류됩니다. 이럴 경우 구글 이외에는 광고 효과를 따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 생긴 것이 UTM입니다. UTM은 URL에 추가하는 특별한 코드(매개변수)입니다. 상품에 붙은 바코드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케팅 활동에 이 코드를 부여해 트래픽 소스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만약, 네이버 파워링크 광고에 UTM을  추가하면 애널리틱스에 'search.naver.com/cpc'같이 표시할 수 있습니다.

 

※ UTM 사용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알아보겠습니다.

 

 

8. 측정기준 (Dimension)과 측정항목(Metric)

저장된 데이터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알아야 합니다. 측정기준은 데이터를 구분하고 분류하는 기준으로 TEXT로 되어 있습니다. 반면, 측정항목은 수치로된 측정값입니다. 

 

사용자의 나이, 성별, 위치나 세션의 날짜, 시간, 디바이스 등은 측정기준이고,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세션 수, 페이지뷰, 사용시간 등은 측정항목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측정기준과 측정항목
측정기준과 측정항목

 

  • 측정기준:
    • 지역(Region): 서울, 부산, 대구 등
    • 디바이스(Device):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탑
  • 측정항목:
    • 사용자 수 (Users): 특정 기간 동안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의 수.
    • 참여 세션수: 참여도 높은 세션수
    • 사용시간: 웹사이트에서 보낸 시간
    • 페이지 조회수 (Page Views): 특정 기간 동안 웹사이트의 페이지가 조회된 횟수.

 

9. 참여 세션 (Engaged Session)

참여도가 높은 세션입니다.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세션을 참여 세션이라 부릅니다

  • 10초 이상 세션 지속
  • 페이지 조회가 2회 이상 발생
  • 전환 발생

 

10. 전환 (Conversion)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비즈니스 목표에 해당하는)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 방문이 아닌 특정 목표에 해당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구매', '회원가입', '뉴스레터 구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주요 메뉴 구조

GA4의 대시보드는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메뉴는 메인 메뉴, 1차 카테고리, 2차 카테고리로 구성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주요 메뉴 구조
메뉴 구조

 

메인 메뉴

메인 메뉴는 '홈', '보고서', '탐색', '광고', '관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홈: 데이터 개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페이지.
  2. 보고서: G4에 의해 사전 정의된 보고서
  3. 탐색: 사용가 직접 만드는 사용자 정의 보고서(커스텀 리포트 생성 기능)
  4. 광고: 전환을 일으킨 광고 기여도 분석
  5. 관리: 계정 정보 및 액서스 관리, 구글 애즈, 빅쿼리 연동, 이벤트 및 전환 세팅

 

 

 

각 메뉴와 기능 간단히 살펴보기

각 메뉴의 자세한 사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홈 대시보드: 데이터 개요

  • 빠르게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본 화면.
  • 실시간 트래픽, 주간 사용자 트렌드 등 데이터 요약.
  • 일정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음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홈 메뉴
홈 메뉴

 

보고서 메뉴: 데이터 분석의 핵심

  • 보고서 개요: 현재 사이트 상태 확인.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보고서 개요
보고서 개요

 

  • 실시간 개요 및 페이지: 최근 30분 사용자 및 페이지 경로 자료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실시간 개요
  • 라이프사이클 보고서: 사용자 획득, 참여, 전환 단계별 분석. 
    • 획득: 사용자 유입 소스 분석.
    • 참여도: 페이지별 참여도와 이벤트 데이터 확인.
    • 수익창출: 전환 및 수익 데이터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획득 중 트래픽 획득
획득 중 트래픽 획득

 

탐색 도구: 심화 분석

  • 데이터를 자유롭게 탐색하고 커스텀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
  • 예: 사용자 흐름 분석, 전환 퍼널 생성.
구글 애널리틱스 GA4 ②: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 알아보기_탐색 도구
탐색도구

 

 

 

 

 


지금까지 구글 애널리틱스 GA4의 주요 용어와 메뉴 구조를 알아보았습니다. GA4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용법인 이후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운영하는 웹사이트가 없다면 구글 데모 계정을 사용해 익혀보시기 바랍니다. 

 


 

GA4 관련 글 더 보기

 

GA4 소개 및 계정 설정, 구글 데모 계정 사용법